// 불펌스크립트시작 // 불펌스크립트 끝

1. 성형 ( Star )

-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 형태

- 허브가 네트워크 중앙에 위치하여 다른 모든 노드를 연결

- 모든 노드가 중앙의 허브에 연결되어 통신하므로 통신망의 처리 능력과 신뢰성은 허브가 좌우

- 배선 문제는 단지 해당 노드에만 영향을 줄 뿐 네트워크 전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

 

2. 버스형 ( Bus )

- 모든 노드는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고, 케이블의 시작과 끝에는 터미네이터라는 장치를 붙여 신호가 케이블로 되돌아오는 것을 막아준다.

-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노드가 전송을 하면 그것이 브로드캐스트 되어 다른 모든 노드가 수신할 수 있다.

- 중앙케이블일 끈어지면 작동 불가능

 

3. 트리형 ( Tree )

- 성형의 변형으로, 트리 형태의 노드에 전송제어장치를 두어 노드들을 연결하는 형태

- 상위 계층의 노드가 하위 노드들을 직접 제어하는 계층적인 네트워크에 적합

- 제어가 간단하여 관리나 네트워크 확장이 쉬움

 

4. 링형 ( Ring )

- 노드가 링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, 모든 컴퓨터를 하나의 링으로 연결한다.

- 단순 링형 ( Single Ring ) : 원의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

- 이중 링형 ( Double Ring ) : 양방향으로 전송

- 단순 링형에서는 링에 결함이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.

 

5. 그물형 ( Mesh Topology )

- 중앙에 제어하는 노드 없이 모든 노드가 상호 간에 전용의 점대점 형태로 연결되는 형태

- n(n-1)/2개의 물리적 채널이 필요

- 네트워크가 복잡하고 많은 통신회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지만, 신뢰성이 높아 중요한 네트워크에 주로 사용

 

6. 혼합형 ( Hybrid Topology )

- 노드 수가 상대적으로 큰 실제 네트워크에서는 효율을 높이고 결함 허용 능력을 증대시키려고 혼합형 접속 형태를 사용

- 네트워크 서브넷이 서로 연결되어 규모가 큰 접속 형태가 되도록 여러 접속 형태를 결합할 수 있다.

 

+ Recent posts